2016학년도(2015년) 대학수학능력평가 수학 영역 출제경향 분석 내용입니다.
이번 2016학년도 대수능 출제경향 분석은 길벗아카데미 수학과 변명희 선임연구원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.
-
이번 2016학년도 수능에서 수학 영역 난이도는 A형의 경우 올해 치른 평가원 모의고사와 비슷하고 작년 2015학년도 수능 시험 보다 약간 더 어렵게 출제되었습니다.
B형은 평가원 모의고사와 작년 수능시험 보다 약간 더 어렵게 출제되었습니다. -
지수, 로그를 이용한 실생활 문장제와 행렬의 <보기> 문항이 A, B형의 공통문항으로 출제되었지만 어렵지는 않았습니다.
-
수열의 빈칸 추론 문제와 무한등비급수의 도형 문제가 A, B형의 공통문항으로 출제되어 기존의 출제 패턴을 유지했습니다.
-
A, B형의 공통문항은 4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.
-
세트 형 문항은 A형(홀수형)은 13, 14번에 B형(홀수형)은 11번과 12번에서 출제되었습니다.
(1) 수학 A형
(2) 수학 B형
본 분석에 언급되는 문항은 모두 홀수형입니다.
A형은 상용로그의 가수와 두 함수의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두 점 사이의 거리 제곱의 최솟값을 구하는 30번 문항이 어려웠는데 1등급 컷을 가르는 최고 난이도의 문제였습니다.
B형에서는 공간벡터의 내적의 최댓값을 구하는 29번이 어려웠는데 2011년 수능 가형 22번을 좀 더 어렵게 변형한 문제입니다.
또한 정적분의 성질과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하는 신유형 문제인 30번 문항이 어려웠습니다.
2016 수능 수학영역 시험지를 보면서 기출문제를 완벽하게 소화하고 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습니다. 특히나 1등급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신유형의 난이도 있는 문제들을 많이 풀어보는 것이 중요하며, 이런 문제들을 많이 접하고 풀어보면서 1등급 컷을 가르는 30번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.
또한, 70% 정도 연계가 되고 있는 EBS 교재도 열심히 풀어봐야 하고 평소에 자신이 틀린 문제들을 잘 정리한 오답노트를 만들어 수험생 스스로에게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보완하고 정리해야 할 것입니다. 그리고 수능 시험이 두 세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쉬운 기조를 유지하는 문제이므로 쉬운 문제들을 실수하지 않고 최대한 빨리 푸는 연습 또한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.